배열 배열 자료형이 같은 변수의 집합을 숫자를 이용해 관리할 수 있다. 배열을 선언할 때는 자료형 변수명 [요소 개수] 이렇게 하면 된다. 단, [] 안은 상수여야 한다. 만약 int a[4]를 선언했으면 a[0]부터 a[3]까지 선언된 것이다. 배열 초기화 배열 초기화는 배열에 값들을 지정해준다. 초기화 값은 대입할 수 없으며 배열의 요소 개수보다 많으면 오류가 발생한다. // 방법 1 int main(void) { int a[5] = {1,2,3,4,5}; return 0; } // 방법 2 int main(void) { int a[] = {1,2,3,4,5}; return 0; } // 배열 a[0] == 1, a[1] == 2 ... a[4]에는 5가 초기화된다. int main(void) { i..
반복문 반복문 do C언어에서 do는 실행하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do문의 형태는 이렇다. int main(void) { int banbok; do { printf("실행"); printf("계속 실행할거면 0 종료할거면 9"); scanf("%d", &banbok); } while(banbok == 0); return 0; } // while() 괄호 안의 조건식이 성립하면 다시 do문을 실행한다.while C언어에서 while은 ~하는 동안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while문의 형태는 이렇다. int main(void) { int i=1; while(i
조건문 조건문 if C언어에서 if문은 영어 단어와 같이 만약 ~라면 이라는 뜻이다. 이는 제어식을 평가해 결과가 참이면 구문을 실행하고 거짓이면 멈추거나 다음으로 넘어간다. if문은 중첩 시킬 수도 있다. 예시 int a = 10; if (a < 15) printf("정답"); //제어식이 거짓이기 때문에 정답이 출력되지 않는다.else위의 예시에서 오답을 출력하고 싶다면 else를 넣고 구문을 넣으면 된다. 예시 int a = 10; if (a < 15) printf("정답"); else printf("오답");이렇게 else를 넣으면 두 구문 중 하나는 무조건 실행된다. switch문과 break switch문은 괄호 안의 들어간 정수를 case의 레이블과 비교해 같으면 구문을 실행하는 구조다. s..
연산과 자료형 연산자 연산자와 피연산자 여러 연산을 위해 사용하는 기호를 연산자라고 한다. 그리고 이러한 연산에서 사용되는 변수나 상수를 피연산자라고 한다. 예를 들어 1 + 2에서는 1은 제1피연산자 또는 왼쪽 피연산자라고 하고 +는 연산자 나머지 2는 제2피연산자 또는 오른쪽 피연산자라고 한다. 덧셈과 뺄셈 모두가 알고 있듯 덧셈은 + 연산자 빼기는 - 연산자를 사용한다. 곱셈과 나눗셈 곱셈은 * 연산자를 사용한다. 나눗셈에는 몫과 나머지가 있다. C 프로그램에서 구현하려면 몫을 구하는 / 연산자를 사용하고 나머지를 구하는 연산자는 % 연산자를 사용한다. 연산 순서 만약 연산 순서를 바꾸고 싶다면 ( ) 를 사용하면 된다. 예를 들어 x + y * 2 와 (x + y) * 2 의 식이 있다고 했을 때..
C언어를 시작하려면 파일확장자는. c를 사용해야 한다. 주석이란 소스 프로그램 안에 읽는 사람에게 뭔가 전하려는 메시지를 넣고 싶을 때 사용한다. 보통 // 할 말 또는 /* 할 말 */ 을 사용한다. 함수란 예를 들면 함수라는 도시락을 만들어두고 함수 호출을 하면 도시락을 먹는 원리이다. 이는 간단하고 빠르게 프로그램을 만들 때 유용하다. 문자열을 출력하고 싶다면 printf() 함수를 사용한다. 예를 들면 printf("1 + 1 = %d\n", 2); 이렇게 사용한다. 여기서 큰따옴표를 포함한 안에 있는 인수를 형식 문자열이라고 하고 형식 문자열 안에 있는 %d 같은 것들이 형식 지정자이다. 형식 문자열 안에 있는 문자는 그대로 출력되지만, 형식 지정자는 그렇지 않고 뒤에 2가 출력된다. 위 형식 ..